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java
- 인터페이스
- 인프콘
- 데이터 송수신
- 상속
- 유선LAN
- 네트워크
- 논리구성도
- 자바의 정석
- l3 스위치
- 개발바닥
- 테슬라폰
- 자바
- aws 자격증
- 10866
- 파이썬 1712
- 남궁성
- 백준 1712
- TCP/IP
- AWS CLF
- 물리구성도
- 다형성
- 프로토콜
- 백준 2775
- 계층화
- modifiers
- 1764
- network
- 역캡슐화
- 파이썬
- Today
- Total
목록네트워크 (12)
병훈's Blog
https://www.youtube.com/watch?v=HLziLmaYsO0 LAN의 구축 LAN은 사용자가 직접 만드는 네트워크입니다. 현재 LAN을 구축하는 주요 기술은 다음 두 가지 입니다. 이더넷 무선 LAN (Wi-Fi) 사용자가 직접 LAN을 구출하려면, 이더넷 인터페이스가 있는 라우터와 레이어2 스위치, 레이어3 스위치 등의 네트워크 기기를 준비해야 합니다. ** 이더넷 : 가장 대표적인 버스 구조 방식의 근거리통신망(LAN) ** 인터페이스 : '디지털 데이터'와 '물리적 신호'의 경계 ** 이더넷 인터페이스 : 버스 구조 방식의 근거리통신망에서의 디지털 데이터와 물리적 신호의 경계 준비된 기기들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LAN 케이블로 연결해 가면, 기기 사이에 링크가 구성되고 LAN이 ..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로는 주로 다음 세 가지가 있습니다. 라우터 레이어2 스위치(L2 Switch) 레이어3 스위치(L3 Switch) 이 네트워크 기기들은 모두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데이터 전송 처리 단계 1. 데이터 수신 전기신호 등 물리적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원래 디지털 신호(0, 1)로 되돌려 수신한다. 2. 데이터를 보낼 곳을 결정 데이터에 부가된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전송할 곳을 결정한다. 3. 데이터 전송 데이터를 물리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내보낸다. 필요하면 제어 정보를 고쳐쓴다. 네트워크 기기의 차이는 두 번째 단계에 있습니다. 데이터에는 다양한 제어 정보가 부가됩니다. 네트워크 기기의 동작 메커니즘에서는 어느 제어 정보를 참조해서 데이터를 보낼 곳을 결정하..
서버 운용/관리의 어려운 점 데이터 통신의 주체는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했죠. 애플리케이션이 제대로 동작하려면, 서버가 항상 가동되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새로운 서버를 도입하려면 적절한 하드웨어를 선정해 OS와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테스트해야 합니다. 중요한 데이터를 다루는 서버에서는 서버의 상태를 항상 감시하고 있으며, 뭔가 문제가 발생하면 바로 대처합니다. 데이터 백업도 항상 해두어야 합니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처리 능력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보안 대책도 중요합니다. 이처럼 서버 운용 관리에는 시간과 비용이 들어갑니다. 서버를 인터넷 저편으로 서버를 항상 감시하고, 바로 대처하기 위해 시간과 비용을 들이는 게 힘듭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서버를 직접 관리 운용하지 않고, 인터넷을 ..
네트워크 아키텍처란? 우리가 한국어로 대화하는 것처럼 컴퓨터 통신에서는 네트워크 아키텍처가 통신에서 사용하는 언어입니다. 언어에는 문법, 발음 등 다양한 규칙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도 규칙이 있습니다. 통신 상대의 주소, 데이터 형식, 통신 절차 등의 규칙입니다. 통신에 필요한 규칙을 프로토콜이라고 합니다. 복수의 '프로토콜(규칙)' 집합인 '네트워크 아키텍처(언어)'에 기반하여 통신하는 것입니다. 서로 같은 언어로 대화하는 것처럼 컴퓨터끼리의 통신에서도 같은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이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프로토콜 스택', '프로토콜 수트'로도 불립니다. TCP/IP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지만, 현재는 대부분 TCP/IP를 이용합니다. TCP..
데이터를 주고받는 주체 는 바로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컴퓨터는 Client와 Server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클라이언트는 일반 PC나 스마트폰 입니다. 서버는 수많은 PC 등에서 보내는 요청을 처리하는 컴퓨터입니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를 볼 때 "웹 브라우저(클라이언트측 애플리케이션)"와 "웹서버 애플리케이션(서버측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일어납니다. 데이터 통신은 양방향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Request)을 보내고,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요청의 처리 결과를 응답(Reply/Response)으로서 반환하기 때문입니다. 요청과 응답 데이터를 바르게 주고받을 수 있어야만 비로소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이 작동하는 것입니다. 애플리케이션 간의 통신 방식 위 처럼 서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