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자바의 정석
- 상속
- l3 스위치
- TCP/IP
- 개발바닥
- 계층화
- AWS CLF
- 인프콘
- 인터페이스
- 파이썬 1712
- 네트워크
- 남궁성
- aws 자격증
- network
- 1764
- modifiers
- java
- 테슬라폰
- 논리구성도
- 물리구성도
- 파이썬
- 역캡슐화
- 데이터 송수신
- 프로토콜
- 백준 1712
- 유선LAN
- 다형성
- 자바
- 백준 2775
- 10866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계층화 (1)
병훈's Blog

네트워크 아키텍처란? 우리가 한국어로 대화하는 것처럼 컴퓨터 통신에서는 네트워크 아키텍처가 통신에서 사용하는 언어입니다. 언어에는 문법, 발음 등 다양한 규칙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도 규칙이 있습니다. 통신 상대의 주소, 데이터 형식, 통신 절차 등의 규칙입니다. 통신에 필요한 규칙을 프로토콜이라고 합니다. 복수의 '프로토콜(규칙)' 집합인 '네트워크 아키텍처(언어)'에 기반하여 통신하는 것입니다. 서로 같은 언어로 대화하는 것처럼 컴퓨터끼리의 통신에서도 같은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이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프로토콜 스택', '프로토콜 수트'로도 불립니다. TCP/IP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지만, 현재는 대부분 TCP/IP를 이용합니다. TCP..
Computer/Network
2022. 12. 9. 1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