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논리구성도
- 데이터 송수신
- 자바의 정석
- modifiers
- 파이썬 1712
- 상속
- 다형성
- 파이썬
- network
- 인터페이스
- 네트워크
- 유선LAN
- l3 스위치
- 인프콘
- 10866
- TCP/IP
- 계층화
- 백준 1712
- AWS CLF
- java
- 물리구성도
- 백준 2775
- 테슬라폰
- 프로토콜
- 1764
- 자바
- 역캡슐화
- 개발바닥
- aws 자격증
- 남궁성
- Today
- Total
병훈's Blog
허브, 브리지/스위치, 라우터의 결정적인 차이 본문
앞서 허브와 브리지/스위치에 대해 학습했다.
- 허브 - 1계층 - 비트
- 브리지/스위치 - 2계층 - 프레임
- 라우터 - 3계층 - 패킷
각각 1계층, 2계층, 3계층의 장비이고, 데이터 단위가 다른 것 외에
어떤 차이가 있을까?
https://thdqudgns.tistory.com/141
후니형이 쉽게 써준 허브 (Hub)
허브에 대해서 알아보자 허브는 직사각형 상자에 구멍이 뚫려있는 모양이다. 이 구멍이 몇 개 뚫려있느냐에 따라서 '몇 포트 허브다' 라고 이야기하고 몇 대의 장비를 연결할 수 있는지를 결정
thdqudgns.tistory.com
https://thdqudgns.tistory.com/142
후니형이 쉽게 써준 브리지와 스위치
허브에는 문제가 있었다. ☞ 한순간에 하나의 PC만 통신할 수 있음 ☞ 연결되는 PC가 많아질수록 콜리전이 자주 발생 ☞ 콜리전이 발생하면 연결된 모든 PC가 영향을 받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thdqudgns.tistory.com
한 번 기능적 차이에 대해서 정리해보자.
키워드는 콜리전 도메인과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이다.
나도 학습을 하면서 헷갈렸던 부분이다.
콜리전 도메인은 충돌한 프레임이 전파되어 영향을 받는 범위다.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은 브로드캐스트 패킷에 대해 영향을 받는 영역이다.
그렇다면 네트워크 주소가 다르면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이 다른 것인가?
일반적으로는 "네트워크 주소가 다르다 ==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이 다르다" 로 보는 게 생각하기 편하다.
그러나, 네트워크 주소가 달라도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은 같은 경우가 있다고 한다(?)
허브와 브리지/스위치의 차이는 콜리전 도메인이다.

허브는 콜리전 도메인이 하나고,
브리지/스위치는 포트마다
콜리전 도메인을 나눌 수 있다.
브리지/스위치와 라우터의 차이는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이다.

브리지/스위치를 사용하여
콜리전 도메인을 나눴어도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은 하나다.

라우터만이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누어 줄 수 있다.
참고:
IT 인프라 & 네트워크 전문가 따라잡기 (네이터 로그인, 카페 회원가입 필)
'Computer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Looping(루핑, 뺑뺑이) (0) | 2023.12.05 |
---|---|
스위치의 개념과 L2, L3, L4, L7 스위치의 차이점 (4) | 2023.11.27 |
후니형이 쉽게 써준 브리지와 스위치 (1) | 2023.11.26 |
후니형이 쉽게 써준 허브 (Hub) (1) | 2023.11.25 |
후니형이 쉽게 써준 OSI 7 Layer (1) | 2023.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