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유선LAN
- 파이썬 1712
- 10866
- 백준 2775
- TCP/IP
- 테슬라폰
- 파이썬
- java
- 자바의 정석
- 1764
- 다형성
- l3 스위치
- 계층화
- 개발바닥
- 프로토콜
- modifiers
- 논리구성도
- 역캡슐화
- aws 자격증
- 남궁성
- 인프콘
- 백준 1712
- 상속
- 데이터 송수신
- 물리구성도
- AWS CLF
- network
- 인터페이스
- 네트워크
- 자바
Archives
- Today
- Total
병훈's Blog
[Python] [백준] 10845번 - 큐 (deque 사용) 본문
문제
정수를 저장하는 큐를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여섯 가지이다.
- push X: 정수 X를 큐에 넣는 연산이다.
- pop: 큐에서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size: 큐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 empty: 큐가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 front: 큐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back: 큐의 가장 뒤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문제에 나와있지 않은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
출력
출력해야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처음에는 form queue import Queue
를 하여
queue를 사용하려고 했었다.
- queue를 사용한다면
- push는 put()을 사용하고,
- pop은 get()을 사용하고,
- size는 qsize()를 사용하고,
- empty는 empty()를 사용하면 되는데
front와 back은 queue에 있는 값을 queue에서 빼내는 것이 아니고,
back으로 가장 뒤에 있는 정수를 뽑아낼 방법이 떠오르지 않았다.
그래서 queue 대신에 deque를 사용하였다.
deque는 함수들이 list와 유사해서 사용하기 더욱 편리하고,
index를 사용하여 양쪽의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
- push는 append()를 사용하고,
- pop은 popleft()를 사용하고,
- size는 len()으로 디큐를 감싸고,
- empty는 len()으로 감싸서 확인하면 되고,
- front는 [0] 으로, back은 [-1]로 조회하면 된다.
또한 실행코드에서 print(play(command, num))을 사용하여
각 조건문에 return을 하면 안된다.
왜냐하면 return할 게 없는 push에서는 None를 return하여
None가 출력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각 조건문마다 print()를 해주었다.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mport sys
N = int(input())
deque = deque()
def play(command, num):
if command == "push":
deque.append(num)
elif command == "pop":
if len(deque) == 0:
print(-1)
else:
print(deque.popleft())
elif command == "size":
print(len(deque))
elif command == "empty":
if len(deque) == 0:
print(1)
else:
print(0)
elif command == "front":
if len(deque) == 0:
print(-1)
else:
print(deque[0])
elif command == "back":
if len(deque) == 0:
print(-1)
else:
print(deque[-1])
for _ in range(N):
input_data = list(map(str, sys.stdin.readline().strip().split(' ')))
command = input_data[0]
num = 0
if len(input_data) > 1:
num = int(input_data[1])
play(command, num)
728x90
728x90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백준] 2164번 - 카드2 (deque 사용) (0) | 2022.10.10 |
---|---|
[Python] [백준] 1874번 - 스택 수열 (stack 사용) (0) | 2022.10.09 |
[Python] [백준] 1920번 - 수 찾기 (이진탐색 사용) (0) | 2022.10.07 |
[Python] [백준] 10828번 - 스택 (stack 사용) (0) | 2022.10.06 |
[Python] [백준] 9012번 - 괄호 (stack 사용) (0) | 2022.10.06 |